[기자수첩] ‘스마트건설’…정부가 군불 지속적으로 지펴야

적정대가 지급과 기술개발에 힘 실어주는 정책 필요

변완영 기자 | 기사입력 2021/12/03 [15:19]

[기자수첩] ‘스마트건설’…정부가 군불 지속적으로 지펴야

적정대가 지급과 기술개발에 힘 실어주는 정책 필요

변완영 기자 | 입력 : 2021/12/03 [15:19]

▲ 변완영 기자     ©매일건설신문

정부는 ‘디지털 뉴딜’로 국토의 디지털화를 가속화 하고 있다. 서울시도 올해 9월 회복력 있는 기반시설 건설을 위한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하고 2030년을 목표로 기반시설의 디지털화를 제시한 바 있다.

 

이처럼 디지털과 스마트는 현재와 미래의 건설 키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스마트 건설’은 BIM, 메타데이터, 빅데이터와 같은 구조화된 정보와 탐사, 모니터링, 관제분야에서 원격업무, AI, IoT로봇, 3D프린터 등 새로운 기술로 자동화를 추구한다.

 

스마트 건설은 계획부터 운영 및 유지관리의 전 과정이 하나의 플랫폼 기반에서 통합된다. ICT기술과 건설기술의 융합으로 건설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상시모니터링을 통한 성능평가로 기반 시설의 수명을 연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스마트 건설이 자리매김 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관(官) 주도의 ‘미국형’으로 갈 것인지, 민간주도의 ‘싱가포르형’으로 갈 것인지 명확한 기준이 서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지난 2018년 ‘스마트건설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지난해에는 2천억 규모의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을 수행했고, 2025년까지 핵심기술의 상용화 실현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BIM설계의무화, 공공·민간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장비 의무화, 일반공사 턴키발주로 스마트 건설기술을 적용하고 활성화를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 설계를 하면 입찰에 가점을 주는 경우도 있고, 온라인 ‘스마트기술마당’도 펼쳐놓고 있다.

 

서울시도 최근 진행하고 있는 공공건설 프로젝트에서 BIM설계를 적용하고 2025년까지 설계 BIM(빌딩정보모델)을 전면 도입한다는 복안이다.

 

민간 분야에서는 정부시책이전부터 생산성향상과 시공안정성 등 자체 기술개발과 도입을 추진해오고 있다. 원가절감·품질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은 필수품이기 때문이다.

 

어찌보면 정부입장에서는 민간이 주도하는 것이 당연한데, 수익성과 경제성측면을 고려해야 하는 민간사업자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민간은 정부가 스마트건설에 동력을 주면서 지속적으로 군불을 지펴줄 것을 바라고 있다.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지금보다 더 스마트건설이 활성화 되려면 정부는 첫째 적정대가 지급과 기술적용 장벽 해소 등 기본적인 제도가 개선해야 한다. ‘싼 것이 비지떡’이란 말이 있듯이 적정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는 좋은 품질을 기대할 수 없다. 두 번째는 입찰 및 발주제도뿐만 아니라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도 등 스마트 건설 활성화에 필수적인 정책적 뒷받침이 마련돼야한다.

 

국토부 입장에서는 입찰에 대한 부분까지도 기재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어 유연한 태도를 견지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실토한다. 또한 국토부 관계자는 국회, 행안부 등 여러 기관과 부처와 협의해야 하는 상황이 많아 독자적 결정권이 없는 경우도 스마트건설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소라고 귀띔한다.

 

더불어 설계와 시공을 분리하는 단편적인 스마트 건설보다는 이를 병행해 현장의 이해도를 높여나가야 한다. 설계자가 현장을 모르면 여러번 설계들 변경해야 하고 아무리 잘 짜여진 BIM도 현장에서 적용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턴키와 기술형 입찰을 늘려야 하는 이유다.

 

스마트건설의 대의가 정해졌으면 더 이상 제자리를 맵도는 정책은 중단하고 과감한 제도개선과 함께 민간과 공공이 머리를 맞대고 앞으로 나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태된다. 시대가 급변하고 있다.

 

 

/변완영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스마트건설, 턴키, 적정대가,BIM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