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신축이음매란 장대레일 접속에 사용하는 이음매의 일종으로 장대레일의 신축량을 텅레일을 사용한 신축부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장치로, 고가 교량구간에서 장대레일의 온도 상승과 하강에 따른 궤도 좌굴, 레일 파단 시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다.
하지만 교량상 레일신축이음매의 경우 교량상판과 레일 사이의 상대변위가 발생해 궤도틀림, 자갈 쏠림 등의 유지보수 소요가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곡선부 레일신축이음매에서 철도차량의 진동 충격에 의해 레일 마모, 텅레일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유지보수 소요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레일신축이음매 부근 유지보수 효율성을 고려한 설계 지침과 유지보수지침에 대한 설치기준 적정성 판단과 제·개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코레일의 경우 서현, 경일대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기존선 고속화를 위한 레일신축이음매 설치기준 재정립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상기 컨소시엄은 궤도유지보수 발생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고속화 구간 현장조사와 계측, 설계, 시공 도서에 따른 유지관리 이력 검토를 진행했으며, 현장조건을 반영한 궤도교량 상호작용해석을 통해 유지보수 방안(개량방안) 수립과 지침 개정(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교량상 자갈궤도 레일신축이음매 인근에서 발생하는 자갈쏠림과 궤도틀림에 대하여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특수체결장치와 침목결속등의 영향을 분석했으며, 이후 설계기준과 선로유지관리지침상에서 특수체결장치와 침목결속등에 대한 기준을 반영코자 했다. 곡선부 레일신축이음매에서 발생하는 텅레일 손상에 대해 레일신축이음매의 텅레일을 배향으로 배치할 경우 손상 등의 문제가 최소화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를 기준에 반영코자 했다.
마지막으로 정거장 구내 레일신축이음매에 대해 철거 기준을 마련, 제시코자 한다. 이같은 기존선 고속화를 위한 레일신축이음매 설치 기준 재정립 연구를 통해 서현은 철도 전문 엔지니어링사에서 종합엔지니어링사로 업역을 확대를 하고 있으며, 철도 전문성의 강점을 내세워 철도 인프라 관련 연구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박성현 서현 궤도사업본부장
ⓒ 매일건설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칼럼은 외부필진에 의해 작성된 칼럼으로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매일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