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그래도 건설 산업은 죽지 않는다

윤경찬 기자 | 기사입력 2019/01/04 [10:25]

[데스크 칼럼] 그래도 건설 산업은 죽지 않는다

윤경찬 기자 | 입력 : 2019/01/04 [10:25]
▲ 윤경찬 본지 편집국장     ©매일건설신문

본지는 기해년(己亥年) 새해를 맞아 각 기관장들의 신년사를 게재했다. 장관을 비롯해 공공기관장, 협회장들은 으레 그렇듯 저마다 자신들의 성과를 부각시키고 새해 각오를 다졌다. 

 

우선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신년사에서 시장의 평가는 분분하지만 9.13, 9.21 부동산 대책 시행과 2차례의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마련한 것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특히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등의 광역교통사업에도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40년간 이어져온 건설 업역 규제를 폐지한 점과, 임금직접지급제의 시행으로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건설 현장 임금 체불 방지에 나선 점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화물 종사자 처우를 개선과 안전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화물차 안전운임제’ 도입도 큰 성과다. 모두 ‘사회적 대타협’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던 사안들인 만큼 의미가 크다.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2019년을 ‘수산혁신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해 해운재건의 기틀을 마련한 점을 성과로 꼽았다.

 

김영춘 장관은 올해 ‘수산혁신 2030비전’과 단기적 실천과제인 ‘4개년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침체된 해운산업을 재건하기 위해 ‘어촌뉴딜 300 사업’을 비롯한 계획들이 차질 없이 추진되길 바란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해 말 발표한 ‘제조업 혁신전략’과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의 후속조치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특히 산업부는 올해 ‘재생에너지 3020’를 통해 재생에너지 비율을 확대한다는 계획인 만큼, 탈(脫)원전 논란에 따른 국민들의 의혹을 해소하는 일이 올해 산업부의 업무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

 

건설 산업의 위기론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건설수주가 꾸준히 급감하고 동시에 건설투자율은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주장이 대표적이다. 또한 미분양주택으로 대표되는 공급과잉도 건설 산업의 위기론에서 빠지지 않는다.

 

이를 뒷받침하듯 취재 현장에서 만난 건설업계 관계자들의 입에서는 대기업, 중소기업을 막론하고 죽겠다는 아우성이 터져 나오고 있다. 기업규모를 막론하고 건설업체들이 수주부진과 경쟁심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후부터는 SOC(사회간접자본) 예산축소가 위기론의 핵심으로 부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부 건설 정책 전문가들은 해당 요인들은 주로 토목부문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과 함께 국내 건설수주에서 토목이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한다면 그 여파는 예상과는 달리 한정적일 가능성도 다분하다는 해석을 내놓는 만큼 향후 건설 산업을 희망적으로 볼 수 있는 여지도 크다. 결국 시간이 지나봐야만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각 기관들의 새해 업무 계획과 각오를 일일이 확인하다보면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게 사실이다. 과연 실현 가능할까라는 의문이 드는 내용도 보인다. 신년사를 내놓는 각 기관장들의 마음도 편치는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래도 건설 산업은 죽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각 기관들의 신년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돼 다가올 연말 기사화되길 바란다.

 

 

 

/윤경찬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건설산업, 국토부, 산업부, 해수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